구성도 <그림.1>
구성품
- 라즈베리 파이 4EA
 - 케이스 및 쿨러 4EA
 - 전원 케이블 4EA
 - USB 허브 유전원
 - MicroSD CARD 4EA
 
2. 기본 설정(라즈베리파이는 설치가 완료 된 상태) - $ sudo raspi-config
- hostname 변경
 
hostname 변경 <그림.2>
hostname 변경 <그림.3>
hostname 변경 <그림.4>
- wifi
 
wifi 설정 <그림.5>
wifi 설정 <그림.6>
- locale 설정
 
locale 설정 <그림.7>
locale 설정 <그림.8>
locale 설정 <그림.9>
locale 설정 <그림.10>
locale 설정 <그림.11>
- ssh 설정
 
ssh 설정 <그림.12>
ssh 설정 <그림.13>
ssh 설정 <그림.13>
3. 소프트웨어 설치
- /etc/apt/source.list 변경
 
deb http://raspbian.raspberrypi.org/raspbian/ buster main contrib non-free rpi
to 
deb http://ftp.kaist.ac.kr/raspbian/raspbian/ buster main contrib non-free rpi
- sudo apt-get update
 - sudo apt-get upgrade
 - sudo apt-get install python3-numpy python3-scipy python3-matplotlib python3-ipython python3-sklearn python3-pandas python3-mpi4py nmap
 
여기까지 진행 한 후에 win32diskimager를 이용해서 img 생성. 나머지 sdcard에는 만들어 놓은 img로 쓰기작업.
- 각 장비별로 hostsname 변경(그림2 ~ 3 참고)
 - ssh-keygetn 키 교환 (https://webdir.tistory.com/200 참고)
 - 이후 부터는 01번 호스트에 접속해서 실행
 
$ sudo nmap -sn 1929.168.0.*
- nmap 결과로 mpihosts 파일 생성
 
$ cat mpihosts
192.168.0.20
192.168.0.23
192.168.0.24
192.168.0.19
- mpi 테스트
 
$ mpirun -hostfile mpihosts -np -4 hostname
mpi01
mpi03
mpi02
mpi04
hostname 말고 다른 명령어도 가능
















